전공교육부
교수소개
교수소개 정렬순서는 "교수직위별 -> 가나다" 순서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교수명 | 강정원 교수 | 연구실 | 일립관 703호 |
---|---|---|---|
전화번호 | 02-950-5420 (내선: 5420) | kjw6869@bible.ac.kr | |
전공 | 유아교육 | ||
과목 | 영유아발달, 아동생활지도, 아동미술, 보육실습 저서 및 연구논문 | ||
학력 |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문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문학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문학박사(Ph. D) |
||
경력 |
옥포유치원(경남) 교사
시연유치원(강동) 교사 신아유치원(고양) 교사 부천대학교 겸임교수 중앙대학교 시간강사 한국성서대학교 어린이집 원장(보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학술이사(현) 한국유아교육협회 홍보이사(현) |
||
저서 |
역서)
그래 네 맘 알아 엄마 얘기 들어 볼래 (공역, 한울림) 몸놀이가 이이 두뇌를 만든다(단독, 길벗) 저서) 영유아를 위한 아동상담(공저, 정민사) 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실무(공저, 학지사) 영유아교사를 위한 부모교육(공저, 학지사) 알림장 작성 가이드(공저, 황금사자) 선생님 아이 엄마아빠 함께 배워요. 1권,2권 (공저, 서울육아종합지원센터) |
||
연구논문 |
- 어린이집 안전사고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갈등과 요구(유아교육학논집, 2018)
- 어린이집 운영위원회의 운영현황 및 인식 조사: 어린이집 운영위원들을 중심으로(유아교육학논집, 2017) - 어린이집 알림장의 구성요소, 내용, 오류 분석 및기능의 고찰(유아교육학논집, 2017) - 영유아교사의 위상: 현황과 과제(유아교육학논집, 2015) - 만 5세 학급 유아들의 디자인 활동 경험에서 나타난 교육적 의미 탐색(한국교육문제연구, 2015) - 보육교사의 문화역량과 표준보육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의 관계(유아교육학논집, 2015) - 그림책을 활용한 생활지도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유아교육학논집, 2015) - 런치버디 프로그램이 유아의 식습관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유아교육학논집, 2011) -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유아와 가족 변인의 영향(어린이미디어연구, 2011) - 유아를 위한 인터넷중독 상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유아교육학논집, 2011) -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 교사의 교수적 스트래스 및 교사-유아 관계" [아동학회지, 27권 1호] (한국아동학회, 2006) - "보육시설의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0권 4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6) |
교수명 | 김정원 교수 | 연구실 | 일립관 714호 |
---|---|---|---|
전화번호 | 02-950-5417 (내선:5417) | jungwkim@bible.ac.kr | |
전공 | 유아교육학 | ||
과목 | 유아교육과정, 언어지도, 아동문학교육, 부모교육, 유아교과교육론, 유아교육세미나 저서 및 연구논문 |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문학사)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M.S.)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과(문학박사) |
||
경력 |
현) 한국성서대학교 보육대학원 주임교수 현) 한국기독교유아교육학회 부회장 현)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보육교직원 역량 및 전문성강화 교육 자문위원 현) 한국보육진흥원 평가사업국 종합평가위원 현) 한국육아지원학회 이사 전) 한국성서대학교 기획실장 겸 산학협력단장 전)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 Visiting Professor 전) 한국성서대학교 어린이집 원장 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이화유치원 교사 전) 노원보육정보센터 운영위원 전) YWCA 운영위원 전) 전국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평가위원 전) CTS 기독교TV 영유아문화원 전문위원 |
||
저서 |
1. 기독교유아교육과정. 창지사. 2019. 2. 영유아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공동체. 2019. 3. (개정3판) 영유아교수학습방법. 공동체. 2019. 4. (개정4판) 영유아교육과정. 공동체. 2018. 5. 보육학개론. 양서원. 2018. 6.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창지사. 2016. 7. 재미있고 쉬운 유아수학교육. 공동체. 2014. 8. 유아문학교육. 학지사, 2014.9. 영아문학교육 프로그램. 창지사, 2011.10. 유아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공동체, 2010. |
||
연구논문 |
1.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0(3), 2018. 2.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2), 2018. 3. 유아의 정서조절관련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지도실제의 변화: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탐구. 코칭연구, 11(1), 2018. 4.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방과 후 활동이 만 4-5세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4), 2017. 5. 부모애착표상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직적성에 미치는 효과. 육아지원연구, 12(1), 2017. 6.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직적성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0(6), 2016. 7. 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8(4), 2016. 8.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5), 2016. 9. 그림책을 활용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2016. 10.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1), 2015. 11. 그림책을 활용한 생활지도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1), 2015. 12.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변화에 대한 질적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8(6), 2015. 13. 영유아교육기관장의 행복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4(5), 2014. 14. 타샤 튜더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2014. 15.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의 효과: 누리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체계에 근거한 접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2014. 16. 누리과정에 근거한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1), 2014. 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지능과 행복감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9(1), 2014. 18. 부모애착표상과 가족건강성이 예비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2013. 19.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 2013. 20. 유아교육기관장의 도덕적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013. |
교수명 | 조윤경 교수 | 연구실 | 일립관 712호 |
---|---|---|---|
전화번호 | 02-950-5492 (내선: 5492) | ykcho@bible.ac.kr | |
전공 | 유아특수교육 | ||
과목 | 특수아 행동지도, 개별화교육프로그램, 특수아통합및보육세미나, 특수아진단 및 평가, 장애아보육실습 저서 및 연구논문 |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특수교육학과, Ph.D) | ||
경력 | 본교 영유아보육학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장애아통합교육 전공주임교수,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원 |
||
저서 |
1. 장애 영유아 교사를 위한 특수아진단 및 평가(공동체, 2019) 2. 한국형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매뉴얼 : 이론과 실제 (공동체, 2018) 3. 특수아 행동지도 : 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아동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공동체, 2017) 4. 유아교사를 위한 특수아동의 이해 (공동체, 2014) 5. 특수아 상담 및 가족지원 (공동제, 2014) 6. 한국판 영유아 기질 및 비전형행동척도 (학지사, 2013) 7. 유아교육과정 내의 장애영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프로그램 (공동체, 2013) 8. 잘 가르치기 위한 아동 관찰 및 행동연구 (공동체, 2010) 9. 장애아보육 운영 실제 (한국보육진흥원, 2010) 10. 장애아보육교사 실무 (한국보육진흥원, 2010) 11. 교육진단 및 교수계획을 위한 장애유아 진단 및 평가 (학지사, 2009) 12. 유아교사를 위한 특수아동지도 (공동체, 2008) 13. 장애유아 통합 프로그램 운영의 A to Z (창지사, 2007) 14.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중재 (한국학술정보, 2006) 15. 장애아동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파라다이스복지재단, 2006) 16. 우리 함께해요 : 장애유아 통합 프로그램의 실제 (창지사, 2005) |
||
연구논문 |
1. 조기개입 실행 개선을 위한 어머니의 조기개입 경험 분석(2018) 2. 조기개입이 영아의 발달과 부모 및 조기개입 시행자의 역량 강화에 미치는 여향(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3. 어린이집 재원 영아 어머니의 양육부담과 양육지원요구 분석 : 취업모와 비취업모 간 비교를 중심으로(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4. 어린이집 재원 다문화 가정 영아의 양육 현황과 어려움 및 지원요구(한국보육지원학회, 2018) 5. 발달장애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와 개선 방안 : 부모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2018) 6. Development of Family Outcomes in Program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via a Professional Delphi(2018) 7. Analysis on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3-Level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betwee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2017) 8. 장애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아동 인권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비교(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9. 현장전문가 소집단 면담을 통한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요소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탐색(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10. The Present Implementation Statu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Intervention for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Special Educators’ Interview at Five Typed Service Institutions(2017) 11. 학급 생활주제 관련 가정연계 프로그램이 통합된 장애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12. 보육교사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유아 선별 행동 특성과 지원 실태 및 요구(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13. 통합학급 비장애유아 부모의 장애인식과 자녀의 장애수용도 관계 및 배경 변인 분석(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14. 어린이집 완전통합을 경험한 장애아동 부모가 인식하는 초등 통합의 어려움과 지원요구(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
교수명 | 조혜경 교수 | 연구실 | 일립관 716호 |
---|---|---|---|
전화번호 | 02-950-5442 (내선: 5442) | chk@bible.ac.kr | |
전공 | 유아교육 | ||
과목 | 보육학개론, 교육학개론, 영유아놀이지도, 보육교사론 저서 및 연구논문 | ||
학력 |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 Ed.D) | ||
경력 |
현) 한국성서대학교 교수 현) 성서대학교회 교회학교 디렉터 현) 꿈빛, 상계5동 어린이집 운영위원 현) 노원가정어린이집연합회고문 전) 교학처장, 기숙사 관장 전) 성서대학교회 교회학교 영유치부 교육사 전) 한국보육정책학회장 전) 노원육아종운영위원 |
||
저서 |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7. 보육실습. 정민사 2016. 보육학개론. 창지사 2016. 놀이지도. 창지사 2010. 아동발달 역서 정민사. 2007. 평가인증제에 기초한 보육과정 이해. 정민사 2007. 놀이와 아동발달 역서 정민사 2005. |
||
연구논문 |
1. 자유놀이에 나타난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의도. 한국콘텐츠학회 18권1호 2018. 2. 영아놀이의 연구동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권17호 2018. 3. 교회학교 영유치부 전도에 대한 연구, 신학과 실천. 53호 2017. 4. 유아교사의 근골격계 작업부담과 직무스트레스.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0권2호 2016. 5. 1세반 주제중심 음악프로그램이 영아의 자발적 음악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보육학 94집 2015. 6. 만1세 영아의 초기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놀이탐색. 아동보육연구. 9권2호 2013. 7.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지도방법에 대한 연구. 아동교육. 19권12호 2010. 8. 영아의 실외놀이연구. 아동보육연구. 2008. 9. 영아의 또래간 갈등에 대한 교사개입. 영유아보육학 53집. 2008. 10. 지역사회 대학연수가 교사의 평가인증지표 이해에 미치는 보육경력별 효과. 영유아보육학 51집. 2007. 11. 1,2세 또래갈등 원인에 대한 연구. 영유아보육학 51집. 2007. 12. 포스트모던시대와 주일학교 전도전략. 한국성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13. 영아의 상징놀이에 나타난 탈맥락화, 놀이주제, 각본조직, 자타관계, 언어기능 발달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9권4호. 2005 |
교수명 | 김형미 조교수 | 연구실 | 일립관 717호 |
---|---|---|---|
전화번호 | 02-950-4314(내선:4314) | hmksp@bible.ac.kr | |
전공 | 유아특수교육 | ||
과목 | 정신지체아교육,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정서및행동장애아교육 저서 및 연구논문 | ||
학력 |
1) Ph.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 M.A.,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3) B.A., Early Childhood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경력 |
현) 한국육아지원학회 이사 현) 세계유아교육기구(OMEP) 한국위원회 부회장 현) Central Regional Reading First Technical Assistance Center, Graduate research assistant 현) Vaughn Gross Center for Reading and Language Arts (Scale-up project), Graduate research assistant 현) Round Rock Independent School District, Round Rock, In-home trainer |
||
저서 |
1. 영유아교사를 위한 정서 및 행동장애아 교육. 공동체. 2019. 2. 특수아 행동지도 : 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아동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공동체. 2017. |
||
연구논문 |
1. 유아교육에서의 구성주의 연구 동향 분석.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6(2), 2019. 2. A literature review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for young children. 유아특수교육연구, 15(4), 2015. 3. A literature review of ACC strategies with young children during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육아지원연구, 9(2), 2014. |
교수명 | 장현진 조교수 | 연구실 | 일립관 525호 |
---|---|---|---|
전화번호 | 02-950-5515(내선:5515) | hjang@bible.ac.kr | |
전공 | 유아교육 | ||
과목 | 아동과학지도, 유아음악교육, 유아수학교육, 아동동작, 아동미술 저서 및 연구논문 |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교육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문학박사, Ph.D) |
||
경력 |
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이화유치원 교사 전) 서울시교육청 유치원 평가위원 전) 서울시 동작교육지원청, 북부교육지원청 유치원 컨설팅 위원 전) 명지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초빙교수 현) 한국육아지원학회 이사 |
||
저서 |
1. 유아 간 가십(Gossip)의 사회적 기능. 한국보육학회지, 19(3), 2019. 2. 유아행복교육탐구. 창지사. 2013. 3. 이화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만 3세. 교문사. 2011. |
||
연구논문 |
1.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능력 증진을 위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2018. 2. 유치원 만 5세 유아 간 사적 대화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48(3), 2017. 3. 영아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은유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2017. 4. 또래 대화를 통해서 본 사교육과 부모의 역할에 대한 유아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6(4), 2016. 5. A Study on Young Children’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Happiness.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9(1), 2015. 6. 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 운영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아동학회지, 34(2), 2013. |